KangWoosung
KangWoosung
중간 정리.. 리액트에서 데이터, 스테이트 등이 변경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.. 1. onRemove, onToggle 등의 함수 리터럴을 App.js 에서 선언해서, 하위 콤포넌트에게 이벤트 핸들러 방식으로 전달해준다. 2. 이 때, onRemove, onToggle...
궁금합니다. 우리 예제 코드에서, users 배열에 5개의 데이터들이 들어있을 때, User 컴포넌트는 5회 로드 될 터이고, 그렇다면 useEffect 훅도 5개가 메모리에서 대기하게 되는 것인가요? 데이터 숫자가 많아진다면, useEffect 훅도 비례해서...
GPT 선생에게 물어봐서 해결했습니다. "정확하게 말하자면, useEffect 훅 자체는 users 배열의 숫자와 무관하게 메모리에 로드됩니다. ... 하지만, 이는 실제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. useEffect 훅은 단순히 로직을 실행하고 끝나므로, 메모리의...
> useState와의 개념이랑 헷갈리네요. 꼭 useEffect를 써야하는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? useEffect 는 useEffect 코드가 사용된 컴포넌트가 마운트되는 시점에 1회, 또는 dependency state 에 변화가 생길 때, 트리거 되고요.. useState 는...
const [newState, dispatch] = useReducer( reducer, initState ) // reducer 는 switch 분기 펑션이다. // 새로운 상태를 리턴하지만, 코드 아무데서나 호출할 수 있는 펑션이 아니다. // useReducer 훅의 첫번째 param...
Context API 로 dispatch 를 전달해줄 수 있다는 건 놀라운 일이네요. reducer() 를 작성할 때, localStorage 같은 곳에 state 전체를 Json 으로 보관하도록 해두면, 프로젝트 전역에서 state 전체를 언제든 참조할...
function User({ user }) { .. } 이 구문을 이해하기가 어렵네요. 왜 function User( user ) { .. } 라고 선언하면 작동하지 않는 건가요?? function User() 가 전달받는 파라메터가 리액트...